*윈도우 레지스트리
1. 컴퓨터에 설치된 모든 하드웨어 장치에 대한 정보 및 사용하는 리소스
2. 윈도우가 시작할 때 읽어들인 장치 드라이브 목록
3. 윈도우 내부 설정
4. 특정형식의 파일을 특정 응용프로그램에 연결 시키는 파일 연결 데이터
5. 배경화면 배색등 인터페이스 설정
6. 인터넷과 네트워크 설정 및 암호
7. 타사 응용 소프트웨어 설정 사항
*가상 메모리를 지원하는 운영체제에서 가상 주소를 실제주소로 변환하는 DAT가 빠른 순서는 연관 – 직접/연관 – 직접사상 이다, 연관사상 기법은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해 고비용이지만 고속 처리와 캐시 적중률이 우수한 장점을 지닌다.
*유닉스
- VTOC 디스크 레이블 : 각 파티션 기본정보-> 첫 번째 섹터, 512byte
- 부트블록 : 부트스트랩에 필요한 파일
- 프라이머리 슈퍼블록 : 데이터블록의 개수, 실린더 그룹갯수, 마운트정보
- 백업 슈퍼블록 : 각 실린더 마다 슈퍼 블록에 대한 복사본을 가짐
- 슈퍼블록 : 파일시스템 크기, inode table 크기, free 블록리스트크기 등 파일시스템 관리정보
- 실린더 그룹 블록 : 실린더 그룹내의 유효블록들의 bit맵 정보나 통계정보
- inode table : 파일의 크기, 위치, 유형, 사용허가권, 날짜정보 등 파일에 중요한 정보 포함
- 데이터 블록 :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
*HWP(Heavy Weight Process)
: 한 프로세스에 속한 스레드가 여러 자원을 공유하고 프로세스의 주소공간과 열린 파일을 공유해 수행의 효율을 높인다.
*LWP(Light Weight Process)
: 스레드를 일컫는 말로 프로세스의 속성을 공유한다.
*멀티 스레드
:멀티 디스크 운영체제 혹은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효율성이 극대화 된다.
*context switch
:하나의 프로세스가 cpu를 사용 중 일 때 다른 프로세스에게 cpu사용권을 넘기는 것, 이전 프로세스의 상태를 보관하고 새로운 프로세스 적재 하는 것
*인터럽트
1. 비동기 인터럽트: 입출력 수행, 하드웨어 장치 이벤트, 키보드 마우스 사용등 현재 수행되는 명령과 관계없이 이벤트에 의해 발생
2. 클럭 인터럽트
: 특정 스레드가 cpu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클럭시간 간격으로 인터럽트 발생.
*유닉스 명령어
chmod : 파일권한을 다른사용자에게 할당
chown : 권한을 특정사용자에게 할당
*Multi Level Feedback Queue
:입출력 위주와 cpu위주인 프로세스의 특성에 따라 서로다른 타임슬라이스 부여
선점형 + 비 선정형
*회전 지연시간을 최적화 하는 디스크 스케줄링
SLTF(Shortest Lantency Time First)
:디스크 헤드가 특정 실린더에 도착하면 회전지연시간이 가장 짧은 것부터 서비스
*HIVE 파일 종류
HKEY_CLASSES_ROOT
HKEY_CURRENT_USER
HKEY_LOCAL_MACHINE
HKEY_USERS
HKEY_CURRENT_CONFIG
HKEY_PERFORMANCE_DATA
HKEY_DYN_DATA
*WAP 아키텍처
- WAE(Wireless Application Enviroment)
Application이 동작할 수 있는 기본 application에 레이어
- WSP(Wireless Session Protocol)
Connection-Oriented와 Connection-less의 두가지 session 서비스를 WAE에 제공
- WTP(Wireless Transaction Protocol)
데이터그램 서비스 위에서 동작하며, Transaction-Oriented 서비스 제공
- WTLS(Wireless Transport Layer Security)
TLS(Transport Layer Security)의 무선 version으로 데이터 무결성, 기밀성, 인증 기능을 제공
- WDP(Wireless Datagram Protocol)
:전송계층에 해당되며 connection-less, unrealiable한 데이터그램 서비스 제공(UDP와 동일)
*데이터베이스 보안통제 기법
1. 접근 가능한 객체간 흐름을 조절하는 흐름통제
2. 간접적 데이터 노출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추론통제
3. 객체에 접근을 제어하는 접근통제
4. 뷰는 특정 컬럼을 숨기는 기능
*ebXML
1.XKMS(XML Key Manangement Specification)
공개키 등록과 배포를 위한 메시지 및 프로토콜 정의
2.SAML: 공유인증 및 인가정보를 위한 포맷
3.XACML: 정보접근 제어정책을 위한 포맷
*RFID 보안기술
1. Kill tag
2. Faraday cage 원리
3. 방해전파
4. Blocker Tag
*Aggregation
: 낮은 보안등급의 정보들을 이용하여 높은 등급의 정보를 알아내는 것
*다중인스턴스화
: 추론으로부터 정보유출로 막기위한 기술로 변수를 값 또는 다른 변수와 함꼐 있게 함으로써 상호작용을 하도록 하는 프로세스
*/usr/sbin/sendmail
- bt : 웜 및 바이러스 헤더 입력결과 필터링 확인
- bd : 데몬 모드 실행
- bi : 앨리어스 db파일 초기화
- bm : Be a mail sender
- bp : 큐에 있는 내용을 프린터
- bs : 표준입력으로 SMTP
- bt : 테스트 모드
- bv : 확인 모드
* X.509v3
: 확장필드는 확장형태, Criticality Indicator, 확장값으로 구성된다
1. 확장형태 : 의미와 형태정보에 대한 객체 식별자
2. criticality indicator : 확장을 인식하지 못해도 무방한지 결정
3. 확장값 : 확장형태에 기술된 자료의 실제적인 자료
'정보보안기사 > 정보보안기사 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보보안기사 필기정리11 (0) | 2018.04.08 |
---|---|
정보보안기사 필기정리10 (0) | 2018.04.08 |
정보보안기사 필기정리8 (0) | 2018.04.08 |
정보보안기사 필기정리7 (0) | 2018.04.08 |
정보보안기사 필기정리6 (0) | 2018.04.08 |